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은행빚을 갚기위해 고금리로 대부업체에서 받는 대출액이 작년 상반기 1400억원을 돌파했다.
7일 금융감독원과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자산 100억원 이상 80개 대형 대부업체의 지난해 상반기 신규 대출액 1조9640억원 중 1396억원이 '타 대출 상환' 목적의 자금이었다.
전체 신규대출의 7.1%가 다른 금융사에서 빌린 대출을 갚는 목적으로 대부업체에서 빌린 돈이라는 의미다.
금융소비자들은 통상 은행권에서대출을 받가 상황이 어려워지면 보험사나 저축은행 등 2금융권으로 이동한 후 이마저도 여의치 않을 때에 대부업체로 흘러가는 사례가 많다.
은행권의 대출이 최저 연 3% 초반까지 근접하는 데 비해 대부업체의 대출금리는 평균 30.8%, 최고 34.9%로 10배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이 때문에 대출 돌려막기 과정은 통상 1년 이내 단기간에 끝나지 않으면 개인 파산 등 상황으로 연결되는 사례가 많다.
실제로 대부업체의 고객 중 1년 미만 고객은 51.7%로 1년 이상 고객 비중인 48.3%보다 높다. 금리가 워낙 높다 보니 1년 이내에 원리금 상환을 마치지 않으면 점점 더 상환이 어려워지는 구조다.
타 대출 상환 목적으로 대부업체에서 대출을 받은 사람 중에서는 회사원(1089억원)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자영업자는 186억원, 학생·주부도 94억원의 대출을 타 대출 상환용도로 지난해 상반기 중에 대출받았다.
문제는 학생·주부 등의 대부업체 대출이다. 이들은 고금리에 눌려 빚을 갚을 가능성이 떨어지는 특히 취약한 고리로 분류된다.
그러나 최고 대출금리의 점진적 인하로 어려움을 겪는 대부업체들이 학생이나 주부 등 취약계층에 대한 공략 강도를 높이면서 이들에 대한 대출은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다.
한편 금융권 관계자는 "학생이나 주부는 대부업체에서 받은 대출이 추후 은행권 대출을 제한할 가능성을 잘 모르는 사람이 많고 고정된 수입이 없어 향후 지급불능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큰 금융취약 계층이라는 점에서 관련 대출을 지속 관리해야 한다"고 말했다. [사진제공=방송화면]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