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정지훈 기자] 국민의당이 인천 등 일부 지역에서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 간에 단일화한 후보에 대해 '야권 단일 후보' 명칭을 사용할 수 있게 허용하는 것은 불합리하다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다시 해석을 요청했다.
이태규 전략홍보본부장은 오늘 마포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야권이라는 용어는 집권하지 않은 정당과 세력을 일컷는 것"이라며 "국민의당 후보가 포함되지 않은 상황에서 야권 단일후보라고 칭하는 것은 불합리하다"고 설명했다.
이 본부장은 "2014년 지방선거에서 문용린 후보가 특정단체의 지지를 받은 것만으로 '보수 단일후보' 명칭을 썼다가 벌금형을 받은 일도 있었다"고 덧붙였다.
선관위는 앞서 더민주·정의당 연대로 '야권단일후보' 명칭을 사용할 수 있느냐는 더민주측 질의에는 '공직선거법 위반은 아니다'라고 회신한 바 있다.
한편 이 본부장은 야권연대에 대해서는 "후보 단일화 논의는 생산적이지 않다"면서도 개별 후보들의 단일화는 사전 협의만 거친다면 막지 않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에 대해 한정애 의원은 1일(오늘)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합의문에도 정당을 표기하여 후보 적합도를 묻는다는 사항이 기재돼 있다. 무소속 후보가 둘이 나와서 단일화를 하는 것이 아니고 정당의 공천을 받아서 후보가 된 이상 정당명을 포함한 후보의 이름으로 여론조사에 임하는 것이 맞다고 해서 정리가 된 것"이라며 반발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