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고재열 기자] 최근 기획재정부는 우리 경제에 대해 연초 부진에서 벗어나 점차 개선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8일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표한 '최근 경제동향(그린북) 4월호'에서 "수출 개선, 개소세 인하 연장 등 정책 효과, 경제심리 반등 등에 힘입어 긍정적 회복신호가 증가하고 있지만 세계 경제 회복 지연,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등 대외리스크 상존한다"고 분석했다.
이어 "경기 회복세가 공고화 될 수 있도록 경제혁신과 구조개혁, 투자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할 것"이라며 "대내외 불확실성에 따른 금융·외환시장 영향 및 국내외 경기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필요시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이 같은 분석은 전달의 낙관적인 전망이 일부 현실화 됐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기재부는 최근 경제동향 3월호에서 "수출 부진이 완화되고 있으며 승용차 개별소비세 인하 연장 등이 내수에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라고 예상했다.
부문별로 보면, 지난 2월 고용시장은 기저효과, 설 명절효과 등 특이요인으로 전년동월(33만9000명)에 비해 취업자 증가폭이 22만3000명으로 둔화됐다.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0%로 석유류가격 하락세가 지속되면서 전년동월(1.3%)보다 상승폭이 축소됐다.
한편, 기재부는 "수출 개선, 개소세 인하 연장 등 정책효과, 경제심리 반등에 힘입어 긍정적 회복신호가 증가하고 있으나 세계경제 회복지연, 국제금융시장 변동성 등 대외리스크가 상존한다"며 "경기 회복세가 공고화 될수 있도록 경제혁신과 구조개혁, 투자활성화, 일자리 창출 등 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