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제공/연합뉴스] |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의 열기가 식고 있다.
7일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3개월 만에 꺾였고, 응찰자도 감소하는 추세다.
수도권 주택의 경락 자금 대출도 주택담보대출과 동일한 규제를 적용받기 때문이다..
서울 아파트 경매시장의 열기가 식고 있다.
낙찰가율(감정가 대비 낙찰가 비율)이 3개월 만에 꺾였고, 응찰자도 감소하는 추세다.
수도권 주택의 경락 자금 대출도 주택담보대출과 동일한 규제를 적용받기 때문이다.
올해 4월부터 3개월 연속 상승하던 낙찰가율이 하락 전환한 것으로, 2월(91.8%) 이후 5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지지옥션은 서울 곳곳에서 나타나던 고가 낙찰 사례가 줄어든 점이 낙찰가율 하락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평균 응찰자 수는 7.8명으로 전월(9.2명)보다 줄어, 올해 1월(7.0명) 이후 6개월 만에 가장 낮은 경쟁률을 보였다.
낙찰률 역시 전월보다 3.1%포인트 줄어 43.4%를 나타냈다.
![]() |
▲ 서울 아파트 경매 낙찰률과 낙찰가율 [제공/지지옥션] |
6·27 대출 규제 이후 대출 한도 축소와 투자 수요 위축이 맞물리면서 서울 아파트 경매지표가 일제히 하락한 것이다.
경기, 인천도 비슷한 상황이다.
지난달 경기 아파트 낙찰가율은 전월보다 2.0%포인트 하락한 87.7%였다.
감정가격 10억원 이상 아파트 낙찰가율(91.5%)이 전월(99.6%)보다 8.1%포인트 급락하면서 평균 낙찰가율을 끌어내렸다.
평균 응찰자 수는 전월보다 1.8명이 감소한 9.3명으로 집계됐다.
인천 아파트의 7월 낙찰가율은 77.3%로 전월보다 1.7%포인트 하락했고, 평균 응찰자 수는 6.9명으로 0.6명 줄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