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제22대 국회의원선거 사전투표 둘째날인 6일 서울 중구 명동주민센터에 마련된 사전투표소 기표소 [제공연합뉴스] |
4·10 총선 사전투표율이 30%를 넘겨 역대 총선 최고치를 기록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사전투표가 마감된 6일 오후 6시 기준 투표율이 31.28%로 잠정 집계됐다고 밝혔다.
이날까지 이틀간 전국 3천565개 투표소에서 진행된 사전투표에는 전체 유권자 4천428만11명 가운데 1천384만9천43명이 참여했다.
이번 총선 사전투표율은 2020년 21대 총선(26.69%)보다 4.59%포인트(p) 높다.
사전투표가 처음 적용된 2016년 20대 총선(12.19%)과 비교하면 19.09%p 오른 수치다.
다만 역대 전국단위 선거 중 가장 높은 사전투표율을 기록한 2022년 20대 대통령선거의 36.93%보다는 5.65%p 낮다.
사전투표는 전국단위 선거로는 2014년 제6회 지방선거에 처음 도입됐다.
이후 지금까지 3번의 총선, 3번의 지선, 2번의 대선 등 전국단위 선거에서 8번 시행됐는데, 그중 사전투표율이 30%를 넘긴 것은 20대 대선과 이번 총선뿐이다.
![]() |
▲ 4·10 총선 지역별 사전투표율 [제공/연합뉴스] |
전국 17개 시도 중 이번 총선 사전투표율이 가장 높은 곳은 전남이다.
전남의 사전투표율은 41.19%로 전국에서 유일하게 40%를 넘겼다.
이어 전북(38.46%), 광주(38.00%), 세종(36.80%), 강원(32.64%), 서울(32.63%)까지 6개 시도의 사전투표율이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사전투표율이 가장 낮은 곳은 25.60%를 기록한 대구였다.
제주(28.50%), 경기(29.54%), 부산(29.57%)도 30%를 넘기지 못했다.
인천(30.06%), 울산(30.13%), 충남(30.24%), 대전(30.26%), 충북(30.64%), 경남(30.71%), 경북(30.75%)은 30%를 넘겼으나 전국 평균을 밑돌았다.
21대 총선은 20대 총선 때보다 사전투표율이 14.5%p 높아지면서 전체 투표율도 8.2%p 올랐다.
이에 이번 총선은 21대 총선보다 사전투표율이 높아진 만큼, 전체 투표율이 70%에 육박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