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베트남을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 23일(현지시간) 하노이 주석궁에서 열린 한·베트남 정상회담에서 보 반 트엉 베트남 국가주석과 악수 [제공/연합뉴스] |
윤석열 대통령이 23일(현지시간) 보 반 트엉 베트남 국가주석과 정상회담을 통해 안보협력 강화에 합의했다.
양 정상은 이날 오전 하노이 주석궁에서 열린 회담의 성과로 외교·안보 분야의 전략적 협력 강화를 가장 먼저 앞세웠다.
구체적으로 외교장관 대화 정례화, 한국 측 퇴역 함정의 베트남 양도 등 해양안보 협력 강화, 방위산업 협력을 강화 하기로 했다.
이날 회담에서 채택된 행동계획에서 이와 관련해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남중국해, 북핵 문제 협의를 언급한 부분이다.
행동계획은 "양측은 2022년 12월 '포괄적 전략 동반자 관계에 관한 한국·베트남 공동선언'에 명시된 공동 입장에 근거해 남중국해(베트남 동해), 북핵 문제 등 지역의 평화·안보와 관련된 문제 협의를 위한 협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남중국해 영유권 분쟁, 북한 핵·미사일 도발 등 역내 외교·안보 현안에 대한 협력 의지를 보인 것이다.
베트남은 중국과 같은 사회주의 체제를 유지하고 있지만, 아세안 국가 가운데서도 중국과 영유권 분쟁에 가장 적극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지난해 말 수교 30주년 계기 출범한 '한·베트남 현인 그룹'에서도 베트남측 인사들이 '남중국해 등 역내 안보문제 관련 협력 강화'를 제안한 바 있다.
이런 가운데 윤석열 정부가 '자유·평화·번영의 인도·태평양'을 강조하며 인태 전략을 마련하고 본격적인 '아세안 껴안기'에 나서면서 양국의 협력 범위가 한층 확대된 것이다.
김태효 국가안보실 1차장은 이날 하노이 프레스룸 브리핑에서 "지난 30년간 경제 협력을 통해 성장해온 한·베트남 관계는 한반도, 동남아, 인태 지역의 평화 구축을 위해 안보 협력을 구축해 나갈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와 상이한 정치 체제인 베트남이 주요 안보 파트너로서 역내 평화 구축에 함께 힘을 모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강조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