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쪽 엔진고장만으로는 이런 사고 불가능…다른 사고 원인 분석해야
![]() |
▲ 사진=29일 오전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항공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과 충돌 [제공/연합뉴스] |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 원인과 관련해 다양한 해석이 나오는 가운데 '버드 스트라이크(조류 충돌)'에 따른 기체 고장이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이날 오전 8시54분께 무안공항 1번 활주로에 접근한 사고 여객기는 1차 착륙을 시도했다.
무안공항 관제탑은 이은 57분께 조류 활동(조류 충돌)을 주의했고, 사고기는 곧 재상승해 복행했다.
이어 2분 후 59분께 조난신호 '메이데이'를 보낸 사고기는 9시께 당초 착륙해야 하는 방향(01활주로)의 반대 방향인 19활주로를 통해 착륙을 시도했다.
그리고 3분 후인 9시3분께 랜딩기어를 내리지 않은 채 이 활주로에 착륙했다.
사고기는 활주로 끝단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하고, 공항 끝단 구조물과 충격 후 동체가 파손돼 화재가 발생했다.
항공 전문가들은 랜딩기어가 작동하지 않은 점이 사고의 직접적 원인이 됐다는 점은 대부분 동의했다.
여러 전문가들은 랜딩기어 미작동 원인으로 조류 충돌 가능성이 크다고 봤다.
이 조류 충돌이 비행기의 엔진, 유압장치의 문제를 일으켰다는 것이다.
김규왕 한서대 비행교육원장은 "갈매기 등 새들이 엔진으로 들어가면 엔진도 망가지고, 거기에 연결된 유압시스템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며 "유압 시스템이 이착륙할 때 랜딩기어를 올리고 내리는데 그 부분이 망가졌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다만 조류 충돌로 한쪽 엔진이 작동하지 않더라도 나머지 엔진으로 동력을 공급받아 랜딩기어가 작동할 수 있었다며 모든 엔진의 결함 가능성을 지적하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최기영 인하대 항공우주학과 교수는 "뒤쪽 랜딩 기어들도 다 내려오지 않아 동체로 내려온 것"이라며 "동체 착륙을 하면 날개 등으로 항력을 더 키워 속도를 줄여야 했는데 영상으로는 그런 것이 잘 안 보인다"고 했다.
이어 "추정하기는 항공기 양쪽 엔진에 다 문제가 생긴 거 같다"며 "엔진이 작동하지 않으면 비행기 전체가 먹통이 되고, 조종사 명령이 전달이 다 안 될 수가 있다"고 덧붙였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