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왼쪽), 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무안 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브리핑 [제공/연합뉴스] |
국토교통부가 전국 공항 항행안전시설에 대해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현지 실사를 시작했다.
국토부는 2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주종완 항공정책실장 주재로 진행한 제주항공 참사 관련 브리핑에서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한 항행안전시설 현지 실사를 오늘 시작했다"며 "실사는 8일까지 예정돼있다"고 말했다.
실사 대상은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의 재질과 높이, 위치 등이다.
지난해 진행된 무안국제공항 로컬라이저 개량공사사업과 관련해선 "한국공항공사가 발주했다"며 "뒤에 법에 따라 사업 승인 절차는 부산지방항공청이 수행했다"고 설명했다.
또 개량공사 당시 부서지기 쉬운 소재를 사용하라는 규정을 지키지 않았다는 지적에는 "한국공항공사 발주처에 확인해보니 발주사에 장비, 안테나 등 부러지기 쉬운 것은 둔덕 위의 레일을 기초개량 설계하면서 부러지기 쉽게 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당시 로컬라이저의 기반 시설이 아닌 로컬라이저 자체만 부러지기 쉽게 설계하도록 했다는 취지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 |
▲ 사진=제주항공 사고 현장 조사 [제공/연합뉴스] |
한국공항공사는 2020년 3월 입찰 공고한 '무안공항 등 계기착륙시설 개량사업 실시설계 용역'에서 "장비 안테나 및 철탑, 기초대 등 계기 착륙시설을 설계할 때 '부러지기 쉬움'을 고려해 설계해야 한다고 명시한 바 있다.국토부는 또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가 CVR에서 추출한 자료를 음성파일 형태로 전환하는 작업을 오늘 오전 완료했다"며 "조사에 활용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어 "음성파일 전환은 사실 1월3일까지 예상됐으나 빠른 속도로 진행돼 이날 아침 완료됐다"며 "용량은 2시간 분량인데 최장 2시간 분량이 있다"고 말했다.
일부 부품이 파손돼 미국으로 이송·분석 예정인 비행기록장치(FDR)에 대해선 "미국에 가서 얼마나 시간 걸릴 거냐는 지금 단정하기는 어렵지만 최대한 신속하게 정보가 추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우리 사고조사위 조사관들도 함께 가 편향될 우려는 없다"고 설명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