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檢 재작년 민주 전대 관련성 주목…자동 녹음 기능 수년치 파일 저장
▲ |
이날 서울신문의 단독보도에 따르면 이정근 전 부총장의 금품수수 의혹에서 시작된 수사가 취업 청탁에 이어 야당을 겨냥한 전방위 정치자금·뇌물 의혹 수사로 확산할 가능성도 감지된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서울신문 보도를 종합하면 이 전 부총장의 휴대전화는 수사 초기부터 ‘판도라의 상자’로 거론됐다. 사업가 박모씨의 청탁을 들어주는 명목으로 10억원의 금품을 수수한 의혹을 받는 이 전 부총장은 당시 노영민 전 청와대 비서실장과 민주당 의원들, 장관들의 실명을 거론하며 폭넓은 친분을 과시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2부(부장 김영철)가 현재 분석 중인 이 전 부총장의 휴대전화 통화녹음 파일은 무려 수년치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휴대전화 통화녹음 파일이 무더기로 나온 것에 대해 이 전 부총장이 자동 녹음 기능을 사용한 탓에 복원된 파일만 수백 건이 넘어 검토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됐다고 이 신문은 전 했다.
![]() |
▲사진=이정근 전 더불어민주당 사무부총장 - 이정근 전 더불어민주당 사무부총장. [제공/연합뉴스DB] |
그동안 검찰은 지난해 이 전 부총장 모친의 자택을 압수수색하는 과정에서 그가 교체 직전에 사용한 휴대전화를 확보하고 포렌식을 실시했으며 이 과정에서 확보한 파일에는 “봉투 10개를 준비했으니 A 의원에게 전달해 달라”는 강래구 한국감사협회장의 발언은 2021년 3~4월 전당대회를 앞둔 시점에 이 전 부총장과의 통화에서 나왔다고 전했다.
녹음파일에서 확보한 내용과 같이 금품 전달이 실제 이뤄졌다면 민주당 지도부를 선출한 당시 전당대회와의 관련성을 간과할 수 없는 불법 금품으로 얼룩진 선거 정황으로 수도권 중진인 A 의원은 강 회장과도 안면이 있고 이 전 부총장과도 평소 친분이 있었다고 한다.
이에 검찰은 A 의원이 실제로 자금을 받아 당시 전당대회에 출마한 특정 후보에게 건넸을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수사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이 전 부총장의 휴대전화에는 이외에도 다른 금품 전달 정황이 담긴 녹음파일이 있는 것으로 전해져 검찰 수사가 계속 확대될 가능성도 있다.
앞서 이정근 전 부총장은 사업가 박모씨로부터 2019년 12월부터 지난해 1월까지 수십차례에 걸쳐 9억 4000만원을, 21대 총선 출마를 앞둔 2020년 2~4월 불법 정치자금 3억 3000만원을 수수한 혐의(일부 중복으로 총 10억원)로 지난해 10월 구속기소됐다.
이후 검찰은 이 전 부총장의 한국복합물류 취업 비리 의혹과 관련해 노 전 실장을 수사선상에 올렸으며 또한 지인 등을 이 회사에 취업시킨 혐의로 이학영 민주당 의원, 한대희 전 군포시장 등을 수사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그동안 검찰은 이 전 부총장의 녹음 파일 속 인물들을 하나하나 확인하는 과정 속에 이 전 부총장 금품수수 의혹 수사에 그치지 않고 급기야 노웅래 의원의 정치자금·뇌물 수수 의혹으로 이어지기도 했다.
한편 검찰은 최근 서울중앙지검 내 보직 인사를 단행하며 특별수사 부서 중 유일하게 반부패수사2부의 인원을 7명에서 9명으로 증원하고 야당 정치인 다수에 대한 취업 청탁 및 금품수수 의혹으로 검찰의 수사가 확대 될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법조계는 술렁이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