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까지 순차적 실시 4차산업 개업 준비 끝
![]() |
▲ 군수품 수송용 드론 시연장면 |
우리나라 남성 대부분이 다녀오는 군대는 늘 민간보다 기술이나 시설이 뒤져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착각이다. 방산용 장비나 항공기, 미사일, 함정, 전차, 차량 등은 민간을 앞서가는 글로벌 정상 수준이다. 여기에 이번엔 4차 산업이 적용된 첨단 산업들이 속속 적용된다.
지난 5월 방위사업청은 신속시범획득사업(4차 산업혁명 기술이 적용된 제품을 우선 구매 도입하는 사업)의 일환으로 해안경계용 수직이착륙 드론을 비롯한 4가지 제품을 선정해 도입하기로 했다. 수소드론의 군사용 도입도 고려 중이다.
박재민 국방부 차관은 23일 육군 종합보급창 예하 제1보급단을 방문해 4차 산업혁명 스마트 국방혁신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했다고 국방부가 밝혔다.
국방부는 스마트 국방혁신 사업 과제로 로봇과 빅데이터 기술에 기반한 스마트물류센터를 구축 중이다. 군수물자를 차량 등에 싣고 내리는데 로봇을 동원하고, 드론을 이용해 군수품 재고 조사를 한다. 자동포장기와 무인지게차, 스마트 고글 등도 갖출 계획이다.
드론의 획기적 활용, 로봇과 빅데이터 기술도 과감히 적용
그동안 인력을 중심으로 해 왔던 모든 사업을 과감하게 4차 산업에 어울리는 분야에서부터 드론과 로봇, 정보통신 기술과 데이터 구축 등을 실행한다.
올해 제1보급단 시범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해군 종합수리부속 창고에, 2025년까지 육군 제2보급단과 공군 종합보급창에 각각 구축된다. 이들 시설에 장기적으로 창고 작업용 지능형 물류 로봇과 드론, 배송용 드론, 자율주행차 등도 도입할 계획이다.
국방부는 "로봇과 자동화 기기, 첨단 ICT(정보통신) 기술을 활용해 상·하역, 색출, 포장 등의 물류를 효율화하는 사업"이라며 "인력과 예산을 절감할 수 있고, 물류 속도가 향상되며, 군수품 재고 확인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방부는 군수품 현장관리 자동화 체계 구축 사업도 진행 중이다.
무선통신(국가안전재난망)을 이용해 군수품을 관리하는 부대와 군수품 현황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는 체계라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군수품 창고에서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때 착용하는 웨어러블 로봇도 보급된다.
방산업체 LIG넥스원에서 개발한 제품으로, 착용 시 작업자의 피로도를 낮추고 안정성을 높여준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10%의 힘만 써도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것이 웨어러블 로봇이다. 입는 로봇으로 생각하면 된다.
격오지 등 접근이 어려운 곳에 있는 부대와 전시 고립된 부대 등에 식량과 탄약을 보급하는 군수품 수송용 드론도 시범 운용되고 있다. 유사시 대단히 유용한 장비로 활용될 전망이다.
국방부는 "평시 차량 진입이 제한되는 격오지 부대 등에 군수품을 신속히 보급하고, 미래 군단 중심 작전지역 확대와 군수담당 부대의 병력 감축에 대비해 수송용 드론을 보급할 것"이라고 전했다.
우리 군은 민간 분야의 첨단 기술을 신속히 도입하고 신기술을 개발하려고 현장 근무자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교육해 왔다. 한때 드론부대의 이야기가 나올 정도로 첨단장비화를 서두르고 있다.
작전 반경 200km가 넘는 소형 무인 정찰기, 수직이착륙 드론 등은 기상이 안좋거나 상황이 나쁠 때에도 제 역할을 한다는 장점이 있다.
군관계자들은 점차적으로 전군에 보급될 첨단 장비를 통해 4차 산업혁명 무기체계를 만들어 가면서 인간 병사가 아닌 로봇과 드론의 역할을 증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입대하는 군 인력이 점점 줄어가는 상황에서 당연히 변화해 가야 할 대한민국 국방의 변화 바람이라고 분석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