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국민통합 대표지표 인포그래픽 [제공/국민통합위원회] |
국민통합위원회는 국민통합과 분야별 사회갈등 수준을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국민통합지표를 7일 발표했다.
그동안 사회갈등 인식조사는 과거 자료를 바탕으로 국제 비교에만 치중되거나 사회 흐름이 반영되지 못하는 등 대표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제기 되어왔다.
이에 위원회는 대표성이 떨어지는 지표로 도출된 단편적이고 왜곡된 조사 결과들이 결국 사회갈등 수준으로 과다대표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고 보고 2022년 출범과 동시에 국민통합지표 연구를 시작했다.
우선 기존 국내・외 지표 중 공신력 있는 지표를 수집해 DB를 구축(219개)하고 △최대한 짧은 주기의 지표 활용과 △국민통합의 가치를 담고 △시계열 데이터 확보가 가능한 국민통합 대표지표(39개)를 채택해 지표의 객관성을 높였다. 그리고 선정 원칙에 따라 전문가조사와 국민조사를 거쳐 국민통합 10대 지표를 최종 선정했다.
특히, 국민통합 10대 지표 선정에 있어 연구자의 전문성과 국민통합의 최종수혜자인 국민조사 결과를 보완하여 사회의 흐름을 반영하는데 주안점을 두었다.
그 결과, 국민조사 결과가 높은 세계행복지수(World Happiness Report,UNSDSN)가 OECD의 삶의 질 지표(Better Life Index,BLI) 대신 선정되었다.
자살률은 한국 사회에 자살이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어 관리지표로서 선정했다.
환경갈등인식 지표는 미래 기후변화의 중요성을 고려해 선정되었다.
이렇게 선정된 국민통합지표는 국민통합과 사회갈등의 현재 수준을 정확히 파악하여 국민에게 알기 쉬운 정보 전달과 데이터 기반 국민통합정책 실현을 뒷받침 할 것이다.
각 분야 국민통합 및 사회갈등 연구자와 정책담당자, 언론, 국민 등 모두가 쉽고 유용하게 국민통합지표를 사용함으로써 국민통합과 사회갈등 수준의 바로미터가 될 것이다.
김한길 국민통합위원장은 “현재 우리 사회의 갈등은 매우 복합적인 원인을 갖고 있다.”며 “국민통합과 사회갈등 해소의 노력이 국민 모두의 일상생활 속에 자리잡을 수 있도록, 국민통합지표가 다방면으로 널리 활용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민통합위원회는 국민통합과 사회갈등을 국민이 한눈에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매월 다양한 주제로 지표와 데이터로 분석한 보고서를 인포그래픽과 함께 홈페이지에 발간할 예정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