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전날 고위 당정청 협의회에서 제도의 망에 들어와 있지 않은 사각지대를 얼마나 최소화할지 정부에 숙제를 드렸다"고 밝혔다.
김태년 원내대표도 최고위 회의에서 "사각지대를 최소화해 이전보다 더 넓고 두텁게 지원한다는 데에 의견을 같이 했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사각지대의 예로 노점상, 플랫폼 노동자, 신규 상인 등을 들었다.
당내에서는 매출 4억원의 일반업종, 종업원 5명 미만 서비스업등으로 규정된 지원 대상 소상공인의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도 거론됐다.
이 경우 혜택을 받는 인원이 앞선 3차 재난지원금 때의 280만명에서 크게 늘어날 수 있다.
민주당은 한 곳에 지원하는 액수도 늘어나야 한다는 입장이다.
코로나19 사태가 장기화하면서 피해 규모도 커지고 있는 데다, 이로 인한 고용 충격도 심화하는 만큼 고용유지 지원금 등이 추가돼야 한다는 것이다.
![]() |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