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북한, 300mm 신형 방사포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김용환 기자] 북한이 4일 최대 비행거리 200㎞에 이르는 단거리 발사체 여러 발을 발사해 그 실체와 발사 의도 등에 대해 관심이 집중된다.
강원도 원산 호도반도 일대에서 이날 오전 9시 6분경부터 9시 27분경까지 쏜 수 발의 단거리 발사체는 70~200㎞를 비행한 것으로 분석됐다.
지난달 17일 사격 시험한 신형 전술유도무기(비행거리 20여㎞ 추정)보다 사거리가 길다는 점에서 북한의 '도발위협' 수위가 한 단계 높아진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정부와 군 당국은 이번 단거리 발사체 발사가 한반도 안보정세에 미칠 파장을 예의 주시하면서 북한의 발사 의도를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당국과 전문가들의 발언을 종합하면 북한이 이날 쏜 단거리 발사체는 300㎜ 신형 방사포일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북한은 2014년 3월 4일에도 원산 호도반도에서 북동 방향으로 신형 300㎜ 방사포로 추정된 단거리 발사체 4발을 발사한 적이 있다. 이 발사체는 150여㎞를 비행했다.
군의 한 관계자는 "오늘 발사된 단거리 발사체의 비행특성은 대구경 방사포와 유사했다"면서 "2014년 3월 호도반도 때 발사된 것과 유사한 비행궤적을 보인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이번 발사체가 300㎜ 신형 방사포가 맞는다면 북한은 이를 개량할 목적 또는 포병부대의 훈련 차원 등으로 쐈을 가능성이 있다.
북한은 300㎜ 방사포를 2015년 노동당 창건 70주년 기념 열병식 등에서 공개한 바 있고, 이미 실전 배치했기 때문이다.
'고강도' 도발위협 국면으로 몰고 가지 않으면서도 미국의 압박에 굴하지 않겠다는 의지를 우회적으로 표출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300㎜ 방사포는 사거리가 단거리 미사일과 유사하다 보니 레이더 궤적만으로는 탄도미사일과 혼동할 때가 많다. 탄두에 고위력의 포탄을 장착할 경우, 탄도미사일의 특성인 '포물선 비행'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이번에 탐지된 것도 장거리 레이더 등에 포착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한반도 상공에서 첩보 위성으로 정찰하고 있어 이 발사체를 위성으로 포착했을 것으로 보인다. 위성에 포착됐다면 방사포인지 탄도미사일지 실체를 파악할 수 있다.
합동참모본부가 이날 '단거리 미사일'로 발표했다가 40여분 만에 '단거리 발사체'로 수정한 것도 탄도미사일과 유사한 비행특성을 보였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군 관계자는 "한미가 현재까지 분석한 결과 탄도미사일은 아니다"고 전했다. 한미는 위성 등 복합 정보자산에 포착된 것을 토대로 정밀 분석 중인 것으로 보인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