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진=서태영 기자] 살인적인 근무시간으로 집배원 사망사고가 자주 발생하면서 우정노조가 1958년 출범 이후 61년만에 총파업을 결의했다.
우정노조에 전국 집배원의 95%가 가입되어 있고 파업 찬성률이 93%라는 점에서 거의 전체 집배원이 파업에 동의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우정노조는 "쟁의행위의 압도적 찬성은 중노동·과로로 죽어 가는 집배원을 살려 달라는 조합원의 열망이 그만큼 뜨겁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일반적으로 공무원은 파업을 할 수 없지만 집배원은 사실상 노무에 종사하는 공무원이어서 파업권을 인정받고 있어 노조는 이 권한을 적극 행사하겠다는 것이다. 우정사업본부와 우정노조는 4월부터 7차례에 걸쳐 교섭을 진행했으나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파업이 현실화될 경우 초유의 '우편물·택배 대란'으로 국가 우편사업 마비로 인한 소비자들의 불편이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우정노조의 이번 파업 결의는 집배원들의 열악한 근로환경을 너무 오래 방치해 온 결과로 노조 탓만 할 수 없는 실정이다.
우정공무원의 상징인 집배원은 그동안 하루도 멈출 수 없는 국가우편사업의 기능을 수행하느라 살인적인 노동시간을 감수해 왔다.
대부분의 집배원들은 겉으로는 일을 일찍 마쳤다고 하면서 실질적으로 추가 근무를 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일하는 시간은 이전과 달라진 게 없는데도 초과근무 수당은 받지 못한다는 게 노조측의 주장이다.
우정노조에 따르면 과로사로 추정되는 집배원은 올 들어서만 9명이나 된다. 지난 2008년 이후 과로나 업무상의 교통사고 등으로 숨진 집배원은 200명에 달한다.
기획추진단은 주52시간 근무를 위해 2천 8백여 명의 신규인력이 필요하고 토요일 배달도 시민들의 이해 아래 없앨 것을 권고했다.
집배원을 비롯한 현장 서비스직 공무원 증원은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이기도 하다. 하지만 공공부문 일자리 예산 전반의 방만성이 문제가 되면서 지난해 예산에서 집배원 증원 예산도 삭감됐다.
우정본부 관할 부처인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국회 예산 삭감을 핑계로 집배원들의 요구를 외면할 상황이 아니다.
집배원들이 겪고 있는 열악한 근무 환경은 온 국민이 아는 바다. 정부는 우정본부와 협의해 집배원 충원과 열악한 근무환경 개선을 위한 방안을 즉각 내놓고, 더이상의 목숨을 잃는 집배원들이 생겨서는 결코 안된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