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기가스 규제 강화를 연기하기도... 미세먼지 걱정
![]() |
▲상하이 고속도로에 가득 찬 중국의 자동차들. [출처=연합뉴스] |
중국 정부가 심각한 생존 위기에 몰린 자동차 산업을 살리기 위해 온갖 정책을 다 꺼내들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심각한 타격을 받은 자동차 산업을 살리기 위한 것으로, 중국 정부는 급기야 국민들에게 빚을 내 자동차를 사라는 메시지까지 내보낼 정도이다.
중국의 자동차 제조사들은 최근 심각한 판매 부진에 따른 경영난에 시달리고 있는데 미중 무역전쟁의 불확실성 고조 속에서 이미 2018년과 2019년 두 해 연속 역성장했고 코로나19 사태의 충격으로 올해 1분기 판매량은 301만4399대로 작년 동기보다 40.8%나 감소했다.
이에 중국 정부 차원에서 비상 대책을 실시키로 한 것이다.
30일 현지 매체 신랑재경(新浪财经)에 따르면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등 중국 정부 부처들은 전날 합동으로 금융 대출을 통한 자동차 소비 진작 계획을 발표했다.
이번에 중국 정부는 금융 기관의 자동차 구매 자금 대출을 적극적으로 격려한다면서 적용 이자를 낮추고 대출 기간은 늘리는 등의 방식으로 개인 소비자들 지원 노력을 강화하라고 금융기관에 지시했다. 중국 금융업계가 이에 대한 구체적인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정부는 자동차 배기가스 기준 상향 계획도 연기하기로 했다.
중국 정부는 대기 오염 방지를 위해 올해 7월부터 가장 높은 배기가스 기준인 '국육'(國六)을 적용하기로 했지만 적용 시점을 내년 1월로 반년 연기했다. 자동차는 살리겠지만 미세먼지 규제는 물건너 가는 상황이다.
또 최근 중국 정부는 자동차 산업을 살리기 위해 당초 올해까지만 유지하기로 했던 신에너지 자동차 구매 보조금 제도를 2022년까지 2년 더 연장하는 지원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또 상하이 등 대도시에서 신규 번호판 발급 제한을 대폭 완화함으로써 그간 억제된 소비를 촉진하는 방안도 동시에 추진하고 있다.
한편 자동차 업계에서는 이번 조치가 중국에 진출하고 있는 우리나라 자동차 기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는 분석과 당분간은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상반된 분석이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