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서울 강북의 아파트@데일리매거진DB |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 신고 건이 7천건을 넘어선 가운데 강북 등 비강남권 아파트의 거래량이 급증했다.
15일 국토교통부 실거래가시스템과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14일 신고 기준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7천8건으로 지난해 3월(1만230건) 이후 올해 들어 두 번째로 많은 거래량을 기록했다.
아직 거래 신고 기한이 이달 말까지로 보름가량 남은 가운데 이미 4월(5천412건) 거래량보다 30%가량 많은 수치다.
서울 25개 구 가운데 2곳(도봉구, 동대문구)을 제외한 23개 구의 5월 신고 건수가 4월 거래량을 넘겼다.
현재까지 5월 아파트 거래 신고 추이는 연중 최고치를 기록한 3월 동기간 거래 신고 건(8천136건)에는 못 미친다.
다만 현재 거래량 증가가 다음 달 3단계 스트레스 DSR 시행을 앞두고 대출 강화 전 주택 구매에 나선 수요가 늘어난 것을 고려할 때 최종 거래 건수는 1만 건에 육박하거나 넘어설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실제 5월 거래는 대출 규제에 민감한 강북 등 비강남권이 주도하는 모양새다.
5월 서울에서 거래량이 가장 많은 곳은 공공기관 매수가 많았던 구로구를 제외하고, 노원구가 511건으로 최다를 기록했다.
구로구는 현재까지 636건이 신고됐으나 이중 354건이 서울시 청년안심주택으로 공급되는 '세이지움 개봉' 준공에 따른 공공기관 소유권 이전 건이다.
노원구 다음으로는 성동구가 484건으로 뒤를 이었고, 강동구 453건, 강서구 438건, 영등포구 432건, 동작구 427건 등의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이에 비해 거래 증가폭은 강남권이 두드러진다.
지난 3월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로 거래량 상위 1, 2위를 차지했던 송파구와 강남구 등 강남권이 3월24일부터 토허구역 확대 지정되면서 4월 거래량이 급감했던 것에 따른 기저효과다.
서초구가 지난 4월 52건에서 5월에는 123건으로 137% 늘었고, 강남구(109→216건) 98.2%, 송파구(130→248건) 90.8%, 용산구(40→69건)가 72.5% 늘어나는 등 토허구역 4곳이 나란히 증가율 1∼4위를 차지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