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 0.02%를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 내지 보합 전환
![]() |
▲ 사진=서울의 한 아파트 단지 @데일리매거진DB |
대출 규제와 탄핵 정국에 따른 불확실성으로 주택시장의 거래 침체가 지속되고 있다.
26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이번 주 전국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3% 내리며 6주 연속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1% 오른 가운데 동북권(-0.01%)의 매매가격이 성동구(0.02%)를 제외하고 일제히 하락 내지 보합 전환했다.
지난주 0.01% 올랐던 성북구는 이번 주 0.01% 떨어져 작년 3월 둘째 주(-0.02%) 이후 41주 만에 하락했다.
또 지난주 보합이던 노원구와 강북구는 이번 주 각각 0.02%, 0.01% 떨어져 각각 작년 5월 둘째 주(-0.01%) 이후 7개월여 만에 하락 전환했다.
최근까지 비교적 높은 상승률을 유지해온 광진구도 지난주 0.04%에서 이번 주에는 보합으로 전환했다.
이에 비해 강남(0.03%)·서초(0.06%)·송파구(0.04%) 등 강남 3구의 아파트가격은 지난주와 비슷한 상승세를 이어갔고, 둔촌동 올림픽파크포레온 입주 등의 여파로 최근 3주 연속 하락세를 보인 강동구는 이번 주(0.00%) 하락세를 멈췄다.
![]() |
▲ 시도별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제공/한국부동산원] |
경기도 아파트 가격은 지난주 대비 0.02% 하락하며 지난 5월 셋째 주(-0.01%) 이후 7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다.
평택(-0.08%)·광주(-0.12%)·하남(-0.08%)·남양주시(-0.06%) 등지의 아파트 가격이 약세를 주도했고, 반도체 산업단지 조성 등의 특수가 있는 용인시(-0.01%)도 처인구의 아파트 가격이 0.11% 하락하면서 작년 6월 둘째 주(-0.02%) 이후 6개월여 만에 마이너스 변동률을 기록했다.
인천은 0.10% 떨어져 지난주(-0.09%)보다 낙폭이 확대됐다.
전국 광역 시도 가운데 대구(-0.11%)에 이어 두 번째로 큰 하락 폭이다.
경기도와 인천의 약세로 지난주 보합이던 수도권 전체 아파트 가격은 이번 주 0.02% 떨어졌다.
올해 4월 넷째 주(-0.01%) 이후 약 8개월 만에 하락 전환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