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금융위원회 권대영 사무처장 [제공/연합뉴스] |
금융당국이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면밀히 살피고,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금융위원회는 9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금융감독원과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등 관계부처와 한국은행, 은행연합회, 5대 은행이 참석한 가운데 가계부채 점검 회의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이날 회의를 주재한 권대영 금융위 사무처장은 "가계대출이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3월 부동산 규제 재시행 이전 활발히 이뤄진 주택거래는 다소 시차를 두고 가계부채 통계에 반영되는 만큼 4월 이후가 향후 가계대출 관리에 있어 중요한 분수령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특히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되지 않은 지역으로의 풍선효과가 나타나는지 여부를 국토부 등 관계기관과 면밀히 살펴보고, 금융권과 함께 지역별 가계대출 모니터링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3월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4천억원 증가해 전월 4조2천억원에 비해 증가 폭이 크게 둔화했다.
지난달 금융권 전체 주택담보대출은 3조4천억원 늘어나 전달(4조9천억원) 대비 70% 수준으로 축소됐다.
이날 회의 참석자들은 3월 중 가계대출 증가세가 상당폭 둔화하는 모습을 보인 것으로 평가했다.
2월 신학기 이사수요 등으로 다소 큰 폭으로 증가했던 주택담보대출이 3월 들어 안정적 흐름을 보이고 있고, 분기 말 부실채권 매·상각에 따른 대출잔액 감소 효과가 더해진 데 따른 것이라는 분석이다.
디딤돌·버팀목 등 정책대출도 은행 재원 외에 기금 직접 대출분까지 고려할 때 1월 2조2천억원, 2월 2조4천억원, 3월 1조6천억원 등으로 증가세가 점차 축소되는 모습을 보인다고 참석자들은 평가했다.
참석자들은 지난 2월 토허제 해제 등 서울 일부 지역의 규제 완화 이후 부동산 거래 증가로 인한 주택담보대출 승인물량은 아직 통계에 반영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아 강남구 등 일부 지역의 부동산시장 동향과 지역별 4∼5월 가계대출 추이를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은행권은 가계대출 증가 상황에 따라 필요시 자율 관리를 강화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