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사진=경기도 평택항에 쌓여 있는 컨테이너와 세워져 있는 자동차 [제공/연합뉴스] |
한국 수출이 두 달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최대 수출품인 반도체가 역대 7월 최대 수출을 기록하며 전체 실적을 견인한 가운데 자동차, 선박 등 주력 품목이 선방한 덕분이다.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7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7월 수출은 608억2천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5.9% 증가했다.
6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증가세로, 미국의 상호관세 시행을 앞둔 불확실성 국면에서 거둔 의미 있는 성과로 평가된다.
7월 수출을 견인한 것은 반도체다.
반도체 수출은 고부가 메모리 수요와 단가 회복 등에 힘입어 작년 대비 31.6% 증가하며 역대 7월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반도체가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2%로, 4분의 1에 육박했다.
자동차 역시 미국의 25% 품목관세 부과로 인한 대미 수출 감소에도 유럽연합(EU), 독립국가연합(CIS), 중남미 등으로의 수출이 늘어나며 작년보다 8.8% 증가를 기록했다.
선박 역시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중심의 수출 호조로 작년보다 2배 이상(107.6%) 수출이 늘어 우상향 흐름에 기여했다.
7월 지역별 수출 순위에도 변화가 나타났다.
대미 수출은 103억3천만달러로 전년보다 1.4% 증가했지만, 중국(110억5천만달러)과 아세안(109억1천만달러)에 이어 3위로 밀려났다.
이는 미국 관세 영향으로 대미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축소된 결과로 해석된다.
특히 자동차·철강·부품 등 고율 관세가 적용된 품목은 수출이 줄며 전체 수출 비중을 끌어내렸다.
7월 전체 수출 증가를 놓고 일각에서는 소위 '밀어내기식 수출' 효과가 아니냐는 분석도 나온다.
미국이 8월부터 한국산 수출품에 25%의 상호관세 부과를 예고하면서, 관세 부과 전 반도체 등 주요 제품에 대한 수출을 8월 전에 서둘러 진행한 정황이 있다는 것이다.
장상식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원장은 "7월 수출 물량 가운데는 한미 관세 협상이 상호관세 15% 수준을 상회해 20% 수준까지 오를 가능성에 대비해 미리 많이 내보내려는 물량이 있었던 것 같다"고 지적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