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출 경기는 하방 국면에 진입 중
![]() |
▲ 사진=현대경제연구원 경기 전망 [제공/현대경제연구원] |
한국 경제 장기 불황 가능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향후 경기는 소비와 건설투자 회복 여부에 달렸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5일 '내수 경기 부진 속 외수(수출) 불확실성 급증' 보고서에서 "한국 경제는 수출 엔진의 성장 견인력 급감을 내수 엔진의 출력 강화로 보완해야만 하는 상황"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연구원은 올해 1분기 현재 소비 심리가 미약하나마 개선되면서 내수 경기가 반등 기회를 모색하는 가운데, 수출 경기는 하방 국면에 진입 중이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향후 예상되는 경기 시나리오로 먼저 'U자형 회복 시나리오'를 들었다.
수출 경기 하강 속도가 완만한 가운데 내수 경기가 금리 인하, 재정 지출 등을 통해 개선되면서 소비와 건설투자의 경기 회복으로 이어질 경우, 전반적인 경제 상황이 완만하게 개선되는 경로다.
다만 연구원에 따르면 'L자형 장기 불황 시나리오'의 가능성도 최근 높아지고 있다.
수출 경기가 경착륙하거나 내수 여건이 개선되지 못할 경우 경기 전환점이 만들어지지 않으면서 침체가 이어지는 시나리오를 뜻한다.
연구원은 향후 경기의 방향성을 결정할 위험 요인으로 미국의 스태그플래이션(stagflation·고물가 속 경기 침체)과 중국의 디플레이션(deflation·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에 따른 'R(recession·경기 침체)의 공포를 꼽았다.
세계 경제 규모의 절반 가까이 차지하고 있는 미국과 중국의 불확실성이 확산하면서 글로벌 교역 전반 위축이 우려되고, 이에 따라 한국 수출 동력도 크게 약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이다.
또한 소비 회복 지연 가능성과 건설업 고용 충격도 경기 회복의 걸림돌로 작용할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구원은 한국 경제가 저성장 국면에서 탈출하기 위해서는 보다 긴박한 현안에 정책적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며 "수출의 성장 견인력이 사라지기 전에 내수의 경기 안전판 역할을 강화해 경기 침체를 방어해야 한다"고 밝혔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