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정부, 인플레이션 감축법 보조금 관련 세부규정 의견 수렴에 착수

경제·금융 / 이재만 기자 / 2022-10-07 09:26:28
업계에서는 한국 측 요청이 얼마나 받아들여질지는 여전히 불투명
▲ 사진=美 전기차 보조금 의견수렴 착수 [제공/연합뉴스]

 

미국 정부가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의 보조금 관련 세부규정을 마련하기 위해 의견 수렴에 착수했다.

미 재무부와 국세청(IRS)은 5일(현지시간) IRA를 통해 지급하는 여러 세제 혜택과 관련해 11월 4일까지 이해관계자 등 대중 의견 수렴을 공지했다고 연합뉴스가 보도했다.

업계는 IRA가 최대 7천500달러(약 1천만원)에 이르는 전기차 보조금 지급 요건에 '북미 최종 조립'을 명시한 만큼 이 규정이 바뀌지 않는다면 당분간 수출 타격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북미에서 제조 또는 조립한 부품을 배터리에 얼마나 사용하는지, 배터리 제조에 쓰이는 핵심 광물을 어느 국가에서 얼마나 채굴·가공하는지에 따라 보조금액이 달라지긴 하지만, 현재로서는 아이오닉6나 EV6 등 국내 완성차업체 전기차가 전량 한국 내에서 생산되므로 배터리 관련 기준은 큰 의미가 없다.

현대차그룹이 미국 조지아주(州)에 전기차 전용 공장과 배터리셀 공장을 짓기로 했으나 일러도 2025년 완공 예정이어서 2년 이상은 북미 시장 실적에 타격이 불가피하다는 게 업계의 대체적 관측이다.

지난 4일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공영운 현대차 사장도 "보조금 액수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고객 입장에서는 저희 차를 선택하기에 상당히 어려운 장벽을 만나게 됐고, 판매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상태"라며 별도 조치가 마련되지 않으면 타격이 예상된다고 밝혔다.

최근 방한한 카멀라 해리스 미국 부통령이 전기차 보조금 문제에 관한 한국의 우려를 이해한다고 밝혔고 미 의회 일각에서도 대안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이 있지만, 국내 업계는 지금 상황에서 그나마 가장 현실적으로 기대할 수 있는 것은 법 시행을 일정 기간 유예하는 방안 정도라는 반응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지금으로서는 미국 측 움직임을 지켜보고 세부 규정이 마련되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와 자동차 업계 입장이 최대한 반영되기를 바라는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정부는 미국 측 공지 내용을 관계 부처·업계와 분석해 대응 방향을 마련할 계획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