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 사상 최저치 경신

경제·금융 / 이재만 기자 / 2018-05-09 12:34:57
지난 8일 한때 달러당 23.41페소까지 떨어져 사상 최저치

1.jpg
▲사진=아르헨티나의 한 환전소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이재만 기자] 아르헨티나 페소화 가치가 또 사상 최저치를 경신하면서 신흥국 금융시장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미국 금리 인상으로 신흥국에서 자금이 빠져나갈 것이란 우려가 끊이지 않는 가운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핵 합의 파기로 지정학적 악재마저 겹쳤기 때문이다.

위기설의 진앙인 아르헨티나는 국제통화기금(IMF)에 구제금융을 요청하며 긴급 진화에 나섰으나 신흥국 뇌관에 붙은 불씨는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9일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아르헨티나 페소화는 지난 8일 한때 달러당 23.41페소까지 떨어져 사상 최저치를 찍었다.


이는 전날보다 4.61% 하락한 것이자 한 달 사이에 15.25% 떨어진 것이다.


페소화는 마우리시오 마크리 아르헨티나 대통령이 이날 IMF에 구제금융 협상에 돌입했다고 밝히면서 낙폭을 줄여 이날 오전 달러당 22.48페소 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아르헨티나 중앙은행은 최근 열흘 사이에 세 차례나 금리를 인상하며 페소화 방어에 나섰으나 밖에서는 미국 금리 인상 전망과 안으로는 인플레이션 압박이 겹치면서 약세를 막지 못했다.


중앙은행은 이날도 추가로 금리를 올릴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다 트럼프 대통령의 이란 핵 합의 파기로 국제유가가 요동치는 것도 신흥국을 압박하고 있다.


특히 아르헨티나와 터키는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탓에 유가가 배럴당 70달러를 넘어 고공행진을 지속하면 물가를 더 끌어올릴 수 있기 때문이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