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미중 막판 협상 시도 [제공/연합뉴스]
[데일리매거진=이상은 기자]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에 당분간 '낙진'에 대비하라는 경계령이 내려졌습니다.
홍콩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는 베이징 주재 미국 대사관이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에 '단기간 낙진'에 대비하라고 경고했다고 보도했습니다. 주중 미 대사관은 그러나, 중국과의 무역 갈등이 한동안 지속되더라도 장기적으로는 유리한 국면이라고 분석했습니다.
중국에 진출한 미국 기업들은, 양국간 무역갈등 과정에서 인허가 보류, 인수합병 유예, 조달계약 배제 등 개별적 보복 조치가 시행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습니다. 일부 미국 기업들은 중국 비자 신청이 보류되는 등 보복조치로 보이는 사례들을 보고하고 있다.
지난 15일 백악관은 내달 6일부터 340억 달러 규모의 중국 제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고 중국도 즉각 같은 규모와 강도로 미국 제품에 보복관세를 매기기로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발 더 나아가 관세폭탄 범위를 4천500억 달러의 중국 제품으로 확대했고, 중국 역시 상응한 보복조치를 다짐했다.
중국의 미국 기업들은 양국 무역갈등 과정에서 간접적인 방식의 제재를 우려하고 있다.
분석가들은 의약, 자동차, 항공기 등의 영역에서 리스크가 최대치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 무역갈등의 파장이 미국 중간선거 기간인 11월까지 지속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일본 다이와연구소의 한 보고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무역정책에서 선거공약을 이행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싶어하며 이를 위해 마지막 조치를 남겨둘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중국의 한 전직 고위 관리는 일부 합의는 중국의 올해말 개혁개방 40주년 기념일에 이르러 타결될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이 관리는 미국과의 무역갈등이 개혁개방 40주년 의미를 퇴색시킬 수 있다면서 베이징의 지도자들은 기념일 전에 반드시 미국과 합의를 성사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미중 양국 관리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공표한 '내달 6일 관세 발효'를 앞두고 막판 대타협을 준비하고 있다.
미국내 친중파 인사들이 스티븐 므누신 미국 재무장관과 류허(劉鶴) 중국 부총리의 마지막 담판을 주선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양국의 관세부과 발효를 불과 일주일 앞두고 추진되는 타협 시도라는 점에서 관심을 모으고 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