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서태영 기자] 저임금 근로자 비중이 2년 연속 증가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노동연구원이 노동리뷰 7월호에 실린 '저임금 근로자 특성과 변화' 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근로자들의 저임금 근로자들이 차지하는 비중은 23.8%로 집계됐다.
연구원은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8월 근로형태별 부가조사'를 분석해 이같이 밝혔다.
저임금 근로자란 전체 임금근로자의 임금을 한줄로 나열했을 때 정 가운데 있는 임금(중위 임금)의 ⅔ 미만을 받는 근로자를 뜻한다.
저소득 근로자 비중은 2012년 24.6%에서 2015년 21.3%로 낮아졌다가 2016년 23.2%에 이어 2년 연속 상승했다.
성별로는 여성 근로자의 34.0%가 저임금을 받았다. 이는 남성(15.7%)의 두 배 수준이다. 여성 근로자들이 상대적으로 일자리 질이 상대적으로 낮은 직종에 종사하는 것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음식·숙박업에선 절반이 넘는 65.2%가 저임금에 시달리고 있다. 도소매업에선 42.5%가, 청소, 여행보조, 사무지원 서비스 등을 아우르는 사업시설 및 지원서비스업에서는 40.9%가 저임금을 받았다.
특히 여성 근로자의 임금 비중은 37.2%로 OECD회원국 중 가장 높았다. 2위인 미국(29.5%)보다 7.7%포인트 높은 수치다.
한편, OECD 평균 저임금 근로자의 비중은 15.8%이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