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일리매거진=안정미 기자] 지난 5월 기준으로 봤을 때 임시·일용직 노동자는 상용직 노동자의 절반에도 크게 못 미치는 월급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노동부는 상용 노동자 1인 이상인 국내 사업체 2만5천개를 표본 조사한 ‘사업체 노동력 조사’ 결과 이렇게 나왔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조사는 6월 마지막 영업일을 기준으로 이뤄졌고 월급과 노동시간은 5월 기준이다. 상용직의 평균 월급은 작년 5월 316만9천원보다 4.7% 늘었고, 임시·일용직은 작년 132만5천원보다 6.9% 늘었다.
상용직은 고용계약 기간 1년 이상인 근로자 또는 고용계약 기간이 미정인 정규직을 의미한다. 반면 임시·일용직은 고용계약 기간 1년 미만 혹은 일일 단위로 고용, 일당 급여를 수령하는 근로자를 의미한다.
사업장 규모별로 보면 300인 이상 사업장 근로자의 평균 월급은 438만1000원으로, 전년 대비 4.4% 증가했다. 1∼300인 사업장 근로자의 경우 288만9000원으로, 전년 대비 5.1% 증가했다.
5월 기준으로 노동자 월급이 가장 많은 업종은 금융 및 보험업(554만원)이었고 전기·가스·증기 및 수도사업(502만7,000원), 전문·과학 및 기술서비스업(431만6,000원)이 뒤를 이었다. 월급이 가장 적은 업종은 숙박 및 음식점업(172만2,000원)이었다.
조사 대상 사업체 근로자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전년 대비 2.4시간 늘어난 163.7시간으로 집계됐다. 이에 대해 노동부는 지난 5월 근로일 수(19.9일)가 전년 대비 0.4일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상용직 근로자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171.2시간으로 전년 대비 2.9시간 늘어났으며, 같은 기간 임시·일용직은 전년 대비 4.4시간 감소한 98.0시간으로 조사됐다.
조사 대상 사업체 노동자의 월평균 노동시간은 163.7시간으로, 작년 동월(161.3시간)보다 2.4시간 늘었다. 노동부 관계자는 "지난 5월 근로일 수(19.9일)가 작년 동월보다 0.4일 많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