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콜센터 근무자들의 방역에 비상이 걸렸다. |
홈쇼핑 업계는 재택근무 인원을 확대하고, 하루 한차례 이상 사업장을 방역하는 등 코로나19 차단에 안간힘을 쏟고 있다.
11일 업계에 따르면 GS홈쇼핑은 전날부터 콜센터 상담원의 재택근무를 도입했다. GS홈쇼핑 콜센터 상담원은 총 630여명 정도인데, 전날부터 시스템 테스트를 거쳐 100여명 정도가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GS홈쇼핑은 또 코로나19 사태가 확산하면서 당초 2곳이었던 콜센터를 이달부터 3곳으로 늘려 근무 인원을 분산시켰다.
상담 시에도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센터 내부를 하루 3차례씩 소독하고 있다.
롯데홈쇼핑은 그간 의심 증상자에 한해 재택근무를 해왔지만 3월 중 시스템 테스트를 거쳐 100여명 정도가 재택 근무하도록 할 예정이다. 롯데홈쇼핑은 현재 부산과 대구, 서울에 600여명 정도가 콜센터에서 근무하고 있으며 상담 시에도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또 하루 3차례 발열 여부를 확인하고 사업장도 매일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
CJ오쇼핑도 코로나19 사태 이후 재택근무를 확대하고 있다. CJ오쇼핑 콜센터 근무 인원은 서울과 부산을 합쳐 500여명 수준으로, 2월 중순부터 재택 인원을 늘려 현재는 절반 수준인 250여명이 집에서 근무하고 있다.
센터에서 근무할 때는 반드시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하루에 2차례 발열 확인도 한다. 사무실은 하루에 3차례 소독하고 외부인 출입은 금지하고 있다.'
11번가 처음 재택근무 실시, 업계는 개인정보 누출 우려...
온라인 소핑몰들이 개인정보를 엄격하게 관리해 온 것은 사실이다. 그만큼 재택근무를 시키기 어렵다. 보안은 집중 관리하지 않으면 새 나가기 쉽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11번가가 한발 앞서 재택근무를 도입했다. 11번가는 지난달 24일부터 대구 지역 콜센터 근무 인원 100여명에 대해 전원 재택근무에 들어갔다. 서울과 경기 안양에서 근무 중인 400여명도 재택을 독려해 현재 40% 정도가 재택근무를 하고 있다. 11번가는 희망 직원은 100% 재택근무를 하도록 하고 있지만 부득이한 사정으로 사무실로 출근하는 사람에게는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매일 방역 작업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다른 온라인 쇼핑몰은 개인정보 보호 등을 이유로 재택근무를 시행하지 않는 곳이 많았다. 외주와 내부 직원으로 콜센터를 운영하는 쿠팡은 개인 정보 보호 등 문제로 재택근무는 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쿠팡은 콜센터 근무 인원을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2월 말부터 매일 센터 방역 작업을 하고, 전화 상담 직원도 마스크를 착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쓱닷컴도 경기도와 부천에 600여명 콜센터 인원이 근무하고 있지만, 인트라넷 접속 등 문제로 재택근무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마스크 착용을 강제하고 매일 방역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티몬과 위메프도 매일 사무실 방역을 하고 마스크를 착용하도록 하고 있다.'
부천 콜센터에 800여명이 근무하는 이베이코리아는 매일 출근 시 체온을 측정하고 마스크 착용을 의무화하고 있지만, 시스템 보안 등 문제로 재택근무를 당장 시행하기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이번 사태를 계기로 방역 전문가들은 전 콜센터 사업장에 비접촉 체온계를 비치하고 37.5도 이상의 직원들을 출입 금지시키고, 정기적인 환기와 가글, 손소독 의무화 등을 엄격하게 적용토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 데일리매거진. 무단전재-재배포 금지]